본문 바로가기
내손안의수익

주식투자 하기 전에 3가지 체크

by i͓̽n͓̽g͓̽n͓̽o͓̽ 2022. 3. 17.

실제 종목을 투자하기 전에 필수로 체크해봐야 하는 3가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좋은 종목이라도 매수를 했다 알고 보니 재무상태가 매우 열악한 관리종목이거나 신용매수 비율이 높아 약간의 주가 하락 시 폭락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1. 종목 분류 기호

증권사 HTS나 MTS로 종목을 검색하면 종목 옆에 (신) , (투) , (거)와 같은 한글이 들어간 아이콘이 있습니다. 종목 분류 기호는 현재 종목의 상태를 가장 쉽고 빠르게 체크해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아이콘-구분표
구분표

기호별 의미의 경우는 위의 내용과 같습니다. '정'이라는 아이콘이 붙어 있으면 해당 종목은 이슈가 있기 때문에 거래가 불가한 거래정지 종목이라는 뜻입니다.

 

반드시 피해야 하는 종목들은 주황색 '관' 관리종목과 갈색 '공' 공매도 과열 종목과 보라색 '증' 증거금 100% 종목, 검은색 '신' 신용한도 초과 종목 등이 있습니다. 이런 종목들의 경우에는 해당 종목이 정상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 않거나 회사 내적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에 향후 변동성 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투자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가급적 접근을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2. 공시

기업에 사업적이나 재무적 변동 사항이 생겼을 때 정보를 투명하게 시장에 공개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특허권 취득이나 대량 공급계약 체결 등은 공시가 올라오면 매우 큰 호재로 작용을 합니다.

 

반대로 실적 공시가 나왔을 때 실적이 어닝쇼크 수준으로 적자전환을 했거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을 했다면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시제도를 활용해서 기업의 성향 또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거의 공시를 살펴보았을 때,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감자 등을 지속적으로 남발하는 종목의 경우는 기존 주주들의 주가 희석을 담보로 회사의 배만 채우는 성향의 종목이거나 정상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종목들이기 때문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3. 테마와 섹터
  • 테마:해당 종목이 주목을 받는 이유
  • 섹터 :해당 종목의 주력 사업 업종

예를 들어 대선 테마와 관련된 종목들은 주력 사업 업종은 전부 달라도 해당 정치인과 연관성이 있는 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고 섹터의 경우 섹터가 철강 섹터라면 포스코, 현대제철과 같은 철강과 관련된 종목들이 해당이 됩니다.

 

이때 대선 테마와 같이 급등락이 심한 종목들은 주가가 요동치는 타이밍이 짧으며, 매수와 매도 타이밍도 다른 종목들보다 중요합니다.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차트를 해석하는 능력도 필요하기 때문에 매매가 숙달이 되기 전까지는 단기성 테마주는 가급적 피하시길 바랍니다.

 

내가 사려는 종목이 어떤 테마와 섹터에 속해있는지는 간단하게 포털에 검색만 해봐도 빠르게 정보를 획득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를 고려 중인 기업이 a기업이면 검색 창에 'a기업 테마' , ' a기업 섹터'라 검색만 하셔도 이 종목이 어떤 테마와 어떤 섹터에 속해있는지 빠르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종목을 매수하기 전에는 테마와 섹터 검색은 필수입니다. 


 

투자 전 필수로 체크해야 하는 세 가지를 안내해드렸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셔서 성공적인 투자로 나아가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