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이 가능한 일회용 컵이 회수되지 않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022년 6월부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이 개정되면서 일회용 컵 보증금 관련 제도가 도입되기도 했습니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 시행
2022년 6월 10일부터 커피 주문 시 일회용 컵을 사용하면 300원의 자원순환 보증금이 부과됩니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는 전국 3만 8천여 개 매장에 적용됩니다.
- 이디야,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등 커피판매점
- 던킨도너츠, 파리바게트, 뚜레쥬르 등 제과, 제빵점
- 롯데리아, 맘스터치, 맥도널드, 버거킹 등 패스트푸드점
- 배스킨라빈스, 설빙 등 아이스크림, 빙수 판매점
- 공차, 스무디킹, 쥬씨 등 기타 음료 판매점 등
전국 매장 수가 100개 이상인 사업자가 운영하는 매장이 포함됩니다.
일회용 컵의 기준은?
보증금제 적용 대상 일회용 컵은 주로 차가운 음료를 담는 플라스틱 컵과 뜨거운 음료를 담는 종이컵 등이며, 사용 후 수거와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다회용 플라스틱 컵이나 머그컵은 제외됩니다.
보증금은 돌려받을 수 없나?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소비자는 음료를 1회용 컵에 담아 구매할 때 보증금 300원을 내고, 해당 컵을 음료를 구매한 매장이나 다른 매장(다른 프랜차이즈 매장 포함)에 돌려주면 이미 낸 보증금 300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제를 적용받는 모든 매장에서 편리하게 보증금을 반환받을 수 있으며, 길거리에 방치된 1회용 컵을 주워서 매장에 돌려주는 경우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해 컵을 매장에 가져가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기기(POS, Point Of Sales)로 컵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해 보증금이 반환되는 방식입니다.
한번 반환된 컵은 다시 반환하더라도 보증금 지급 대상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어 반환이 불가능합니다. 컵 표면에는 한국 조폐공사에서 제작한 위조, 변조 방지 스티커도 함께 부착됩니다.
보증금은 현금으로 돌려받나?
보증금은 계좌이체 또는 현금 지급 중 소비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 계좌이체의 경우 매장 - 보증금 시스템 - 금융기관 간 전산처리로 수분에서 최대 1시간 후 사전 설치한 모바일앱을 통해 본인 계좌로 입금이 됩니다.
- 현금 지급의 경우 매장에서 바로 받을 수 있습니다.
1회용 컵 보증금 제도는 폐기물의 감량과 순환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일회용 컵의 순환도 중요하겠지만 환경을 위해 음료 테이크 아웃을 자주 애용하시는 분들은 미리 텀블러를 구비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집에서도 투명 페트병은 따로 분리수거해야 하나?
2021년 12월 25일부터 단독주택 지역에서 투명 페트병 별도 배출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재활용 폐기물 배출 시 투명 페트병과 유색 페트병, 일반 플라스틱을 별로도 구분해야 합니다. 이는 단독주택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아파트)도 마찬가지입니다.
투명 페트병 배출방법
1. 내용물을 깨끗하게 비웁니다.
2. 라벨을 제거하고 가능한 압착 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합니다.
3. 뚜껑은 따로가 아닌 꼭 닫아서 배출합니다.
분리배출된 투명 페트병은 장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 재생원료로 재활용되며, 이를 통하여 옷이나 가방 등 가치가 높은 재활용 제품으로 만들어져 재활용 시장의 활성화와 재활용 제품의 경쟁력 강화 등 순환 경제 구축의 밑바탕이 됩니다.
재활용 분리수거 쉽게 알려주는 곳 없나?
<내 손 안의 분리배출> 앱은 2018년 재활용품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국민들에게 쉽게 알리기 위해 개발되어 운영 중입니다. 분리배출 핵심 4가지 방법과 품목별 분리배출 요령,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답변하는 Q&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활용 분리수거하는 방법은 쉽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6월부터 시행하는 일회용 컵 보증금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불편하더라도 환경을 위해서 실천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손안의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정부지원 총정리 (0) | 2022.03.30 |
---|---|
정부지원받고 목돈 마련, 신청하기 (0) | 2022.03.30 |
중고차 시장, 대기업 진출 확정 결정! (0) | 2022.03.28 |
변경되는 농지원부 작성기준 (0) | 2022.03.26 |
세금포인트 혜택 받고 할인 방법 (0) | 2022.03.18 |
댓글